미미 오누오하 Mimi Ọnụọha

현재 사이트는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폰트 사이즈 0(글씨 크기를 0으로 처리함)상태입니다.
주소창 왼쪽 버튼의 읽기도구를 사용해주세요.
The site is working fine. Font size is 0.

현재 사이트는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컬러 트랜스페어런트(글씨를 투명으로 처리함)상태입니다. The site is working fine. Color transparent (Letters are transparent).

현재 사이트는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모든 캡션을 보이게 처리한 상태입니다. The site is working fine. All texts are visible.

현재 사이트는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논 (문자를 아예 보이지 않게 처리함)상태입니다. The site is working fine. Display:None (Letters are not displayed).

화면 왼쪽에 애니멀 쩜 제이피지가 파일명인 사진이 있고, 사진에는 세 명이 있다. 옆으로 누운 형태의 소의 동상이 있고, 흑인 여성과 젊은  청소년 흑인 여성이 그 위에 앉아서 웃고 있다. 둘 뒤로는 흑인 남성이 웃으며 서 있다. 화면 오른쪽에는 어떤 형식으로든 이와 비슷해 보이는 20개의 사진이 바둑판처럼 배열되어있다. 주로 여러 명의 흑인 혹은 백인이 모여 소나 말을 타고 있거나, 먹이를 주고 있거나, 만지고 있는 장면이다.
ⓒMimi Ọnụọha

Us, Aggregated 3.0 

Us, Aggregated 시리즈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버전인 이 작업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버전과 같은 주제이지만 영상의 형식으로 만들어졌으며, 구글의 역-이미지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권력, 커뮤니티 및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아티스트 본인의 가족사진 옆에 늘어선 이미지들은 구글이 비슷하다고 알고리즘 적으로 분류한 구글의 이미지들이다. 이런 이미지들은 공동체성과 유사성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며, 무작위로 분류되었다는 것에 착각을 일으킨다. “우리”의 가공된 집합체를. 

The third and final work in the Us, Aggregated series builds off of the first and second thematically but takes the form of a video. Us, Aggregated 3.0 uses Google’s reverse-image search algorithms to hint at questions of power, community, and identity. The work presents an expanded collection of photos from the artist’s family’s personal collection set alongside images scraped from Google’s library that have been algorithmically categorized as similar. Viewed together, the images evoke a sensation of community and similarity that belies the fact that the subjects are randomly assorted, a manufactured aggregation of “us” that remains an “us” nonetheless.


Mimi Ọnụọha는 나이지리아계 미국인 예술가이자 연구자로, 데이터 수집 이면의 사회적 관계와 권력 역학을 작업화한다. 인쇄물, 코딩, 설치 및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다루며, 다르게 추상화되고, 표현되고, 사회 기술 체계에 의해 누락된 여백을 찾는다. http://mimionuoha.com/

Nigerian-American artist Mimi Ọnụọha’s work questions and exposes the contradictory logics of technological progress. Through print, code, data, video, installation, and archival media, Ọnụọha offers new orientations for making sense of the seeming absences that define systems of labor, ecology and relations.